가정예배 순서지 (2023년9월18일~23일)

2023년 9월 18일 ~ 23일 가정예배 순서지( 토론토 꿈의 교회)
(수요일 저녁을 기점으로 편한 시간으로 정하세요)

▯함께 기도하기 ( 가정예배를 드리는 식구 중에서 한 분이 기도를 합니다)

1. 하나님에 대한 영광과 찬양과 경배 : (대상29:10-11. 사25:1. 히13:15) (1 Chronicles 29:10-11, Isaiah 25:1, Hebrews 13:15)
2. 하나님께 대한 감사 : (시100:4. 엡5:20. 살전5) (Psalm 100:4, Ephesians 5:20, 1 Thessalonians 5)
3. 죄에 대한 고백 : (요일1:8-9. 시66:18) (1 John 1:8-9, Psalm 66:18)
4. 우리의 필요에 대한 간구 : (요15:7. 약4:2-3, 마6:7-11. 마6:31-34. 요5:14) (John 15:7, James 4:2-3, Matthew 6:7-11 & 31-34, John 5:14)
5. 다른 사람을 위한 중보기도 : (딤전2:2. 약5:16. 마5:44) (1 Timothy 2:2, James 5:16, Matthew 5:44).
6.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 : Praying in the name of Jesus Christ
7. 아멘 Amen

▯함께 찬양 (가족 모두 잘 아는 찬양 혹은, 1달씩 돌아가며 같은 찬양을 해도 괜찮습니다.)
새찬송가 357장 + 새찬송가 546장 + 정결한 마음 주시옵소서(create in me a clean heart) https://youtu.be/NnQafTbNWvU

▯함께 읽기 (가족들이 함께 돌아가면서 읽으세요. 한글로, 영어로1번씩 읽으셔도 됩니다. )
본문 : 누가복음 7장

▯함께 묵상 (7장) * 매주 묵상 문제는 따로 올려드립니다.

1) 백부장은 왜 예수님이 자신의 집에 오시는 것을 반대했을까?
Why didn’t the centurion want Jesus to come to his house?

2) 왜 세례요한은 예수님이 메시야인지 아닌지 물어보았을까요?
Why did John the Baptiest ask whether Jesus was the Messiah or not?

3) 왜 예수님은 시몬(바리새인)에게 가르침을 주시기 전에 질문하십니까?.
Why does Jesus ask a question to Simon(the Pharisees) before he teaches a lesson?

공통 기도제목 (가정의 꼭 필요한 공통 기도제목은 응답 될 때까지 계속 기도합니다)

가족들 개인 기도제목 (기도제목과 함께 최근의 가족들 이야기를 듣는 시간입니다.)

* 함께 손을 잡고 기도하고, 제일 마지막에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주기도문
(마치고 난 후 서로 안아주면서 꼭 말합시다)

(얘들아 / 엄마,아빠 / 여보,당신 — ”사랑하고 축복합니다“)

 요한복음 : 2019년6월
 창세기 : 2019년 11월
 출애굽기 : 2020년 10월
 잠언 : 2021년 7월
 로마서 : 2022년 3월
 야고보서 : 2022년 6월
 베드로전.후서 : 2022년 7월
 신명기 : 2022년 9월
 전도서 : 2023년 5월
 누가복음 : 2023년8월

 묵상 문제에 대한 아래 설명은 “묵상과 설교” (2016년1.2월, 성서유니온선교회)에서 발췌 하였습니다.

1. 예수님이 백부장의 집에 가까이 가셨을 때, 백부장은 예수님이 자기 집에 들어오시는 것을 만류한다. 두 가지 이유를 추측할 수 있다. 첫째, 유대인이 이방인의 집에 들어가거나, 이방인과 교제하는 것은 제의적 부정을 갖고 오기 때문이다. 물론 전체적인 맥락에서 백부장은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으로서 유대인의 율법을 잘 지켰을 수도 있지만(사도행전의 고넬료 처럼), 유대인만큼 철저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그의 집에서 예수님이 그의 이방인 종들과 접촉할 수도, 이방인의 음식과 접촉할 수도 있었다. 백부장은 이러한 유대 전통을 알고 예수님을 배려했을 것이다. 또 다른 이유는 백부장의 겸손이다. 그는 예수님을 맞이하기에 자신은 부족한 자라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예수님께 나아가기에도, 또 예수님을 맞이하기에도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2. 구약에 나오는 종말과 메시아에 대한 예언은 포괄적 시간 개념을 갖고 있다. 메시아의 초림과 재림을 구분하지 않고, 종말론적 현상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신약은 이중적이다. “이미와 아직”(already but yet)이라는 종말론적 시간 개념에 의해, 종말론적 성취가 이중적으로 나타난다. 종말은 이미 임하였지만,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옛 언약에 속해 있던 세례요한도 이러한 이중적 종말론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고, 예수님의 사역에 잠시 회의를 품게 되었다. (22절 예수님의 대답인 예수님의 사역은 이사야 29:18 35:5 42:18을 생각나게 한다)

3. 예수님은 시몬에게 질문하시고, 그가 직접 판단하게 하신다. 질문과 대답 형식을 빌려, 예수님이 왜 여인의 행동을 만류하지 않으시는지, 그 이유를 분명하게 설명하신다. 여인의 행동의 정당성 그리고 시몬의 행동의 부적절성을 효과적으로 지적하신다. 빚을 많이 탕감받은 사람이 더 많이 감사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이치를 가지고, 예수님은 시몬에게 여인의 행동을 칭찬하신다. 또한 그렇게 하지 않은 시몬을 책망하신다. 많은 빚을 탕감받은 자가 많이 사랑하기 때문이다.
(편집자 주 : “유대인의 디베이트” 학습방식) 부모와 자년 간에, 자녀들 간에, 함께 공부하는 사람들 간에 서로 질문하고 답하며 깨우쳐 가는 방법. 혹은 한가지 주제를 놓고 찬.반을 추첨으로 나누어 토론하는 방법(찬. 반을 바꾸어 토론을 재개할 수도 있음)
(소크라테스는 사람들에게 참된 지식을 직접 가르치기보다는 대화와 문답을 통해 상대자가 스스로 무지와 편견을 자각함으로써 진리를 발견하게 하였다. 이러한 귀납적 진리 탐구 방법을 대화법 또는 문답법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