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예배 순서지 (2023년11월13일~18일)

2023년 11월 13일 ~ 18일 가정예배 순서지( 토론토 꿈의 교회)
(수요일 저녁을 기점으로 편한 시간으로 정하세요)

▯함께 기도하기 ( 가정예배를 드리는 식구 중에서 한 분이 기도를 합니다)

1. 하나님에 대한 영광과 찬양과 경배 : (대상29:10-11. 사25:1. 히13:15) (1 Chronicles 29:10-11, Isaiah 25:1, Hebrews 13:15)
2. 하나님께 대한 감사 : (시100:4. 엡5:20. 살전5) (Psalm 100:4, Ephesians 5:20, 1 Thessalonians 5)
3. 죄에 대한 고백 : (요일1:8-9. 시66:18) (1 John 1:8-9, Psalm 66:18)
4. 우리의 필요에 대한 간구 : (요15:7. 약4:2-3, 마6:7-11. 마6:31-34. 요5:14) (John 15:7, James 4:2-3, Matthew 6:7-11 & 31-34, John 5:14)
5. 다른 사람을 위한 중보기도 : (딤전2:2. 약5:16. 마5:44) (1 Timothy 2:2, James 5:16, Matthew 5:44).
6.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 : Praying in the name of Jesus Christ
7. 아멘 Amen

▯함께 찬양 (가족 모두 잘 아는 찬양 혹은, 1달씩 돌아가며 같은 찬양을 해도 괜찮습니다.)
새찬송가 277장 + 새찬송가 525장 + 행복(Happiness) https://www.youtube.com/watch?v=fm5KHx95vco

▯함께 읽기 (가족들이 함께 돌아가면서 읽으세요. 한글로, 영어로1번씩 읽으셔도 됩니다. )
본문 : 누가복음 15장

▯함께 묵상 (15장) * 매주 묵상 문제는 따로 올려드립니다.

1) 백 마리의 양 중에 99마리를 어떻게 했습니까?
What did a person do with 99 sheep out of 100?

2) 작은 아들은 아버지 집의 무엇을 생각합니까?
Before going back to the father, what was it that the younger son thought of and missed?

3) 큰 아들(기성교인)의 입장은 무엇이었습니까?
What was the position of the elder son?

공통 기도제목 (가정의 꼭 필요한 공통 기도제목은 응답 될 때까지 계속 기도합니다)

가족들 개인 기도제목 (기도제목과 함께 최근의 가족들 이야기를 듣는 시간입니다.)

* 함께 손을 잡고 기도하고, 제일 마지막에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주기도문
(마치고 난 후 서로 안아주면서 꼭 말합시다)

(얘들아 / 엄마,아빠 / 여보,당신 — ”사랑하고 축복합니다“)

 요한복음 : 2019년6월
 창세기 : 2019년 11월
 출애굽기 : 2020년 10월
 잠언 : 2021년 7월
 로마서 : 2022년 3월
 야고보서 : 2022년 6월
 베드로전.후서 : 2022년 7월
 신명기 : 2022년 9월
 전도서 : 2023년 5월
 누가복음 : 2023년8월

 묵상 문제에 대한 아래 설명은 “묵상과 설교” (2016년1.2월, 성서유니온선교회)에서 발췌 하였습니다.

1. 비유에 등장하는 한 사람에게는 양이 백 마리 있었다. 그런데 그 중 한 마리를 잃어버리게 된다. 그래서 이 사람은 잃어버린 양을 찾기 위해서 나머지 아흔아홉 마리를 들에 두고(아마도 다른 목자에게 맡겨놓았을 것이다. 우리는 나머지 아흔아홉 마리가 다른 목자의 관리 감독 하에 있다고 가정해야지 목자가 그것들을 내팽개쳐두고 한 마리를 찾으러 갔다고 섣부르게 상상해서는 안 된다) 그 잃어버린 양을 찾으러 떠나게 된다. 이 비유가 나오게 한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 예수께 제기한 불평의 관점에서 읽게 되면, 한마리 양은 바로 세리와 죄인들을 의미한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예수에 따르면, 그들도 원래 목자의 양 무리에 속했으나 현재는 잃어버린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즉, 에수께서도 세리나 죄인들의 행위에 동의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들은 분명히 잃어버린 양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는 자신의 사역을 그들을 찾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2. (편집자 주 : 우리는 우리의 자녀들이 자기가 자란 집에서 무슨 기억(추억)을 간직할까요? 각자 자신이 기억하는 것과 자신의 자녀들이 기억해 주기를 바라는 것을 말해 봅시다. 추가로 내가 잊지 못하는 다시 먹고 싶은 우리 집안의 음식은 무엇들이 있습니까? 작은 아들의 경우처럼 먹고픈 집안 음식이 생각나면 부모의 사랑도 기억해 낼 수 있습니다.)

3. 구약성경, 특별히 선지서들을 근거로 해서 하나님 나라의 완성을 기대하고 있었을 경건한 유대인들에게 세리와 죄인들과 기꺼이 어울리고 그들과 더불어 식탁교제를 하는 예수의 행위는 상당히 곤혹스러웠을 것이다. 유대인들은 바벨론 포로 이후 자신들의 실패 이유를 율법에 대한 불순종에서 찾았다. 그렇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율법에 대한 순종이 강조되었고, 하나님 백성의 성결에 대한 개념이 상대적으로 더 강조 되었다. 세리와 죄인들과 교제하기를 꺼리는 경건한 유대인들의 반응을 우리는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예수 안에 임한 하나님 나라는 이제 전통적인 거룩함과 더러움의 개념을 완전히 와해시켜서 예수 안에서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